1. ArrayList 기능구현 1.1 remove(index) - remove(int index) : 삭제하고자하는 index에있는 요소를 삭제하고 해당 index의 element를 리턴함 public Object remove(int index) { Object removed = elementData[index]; for (int i = index; i < size-1; i++) { elementData[i] = elementData[i+1]; } elementData[size-1] = null; size--; return removed; } 1.2 removeFirst(), removeLast() public Object removeFirst() { return remove(0); //return이 ..

1. ArrayList 1-1 Iteration 반복 ArrayList numbers = new ArrayList(); numbers.add(10); numbers.add(20); numbers.add(30); numbers.add(40); Iterator it = numbers.iterator(); - numbers는 ArrayList 객체. - numbers.iterator(); = numbers를 이용하여 직접 순회하는 것이 아니라. numbers 객체가 갖고 있는 iterator() 메서드를 호출 하고 있음. - Iterator it = numbers.iterator(); = 호출된 iterator() 메서드는 어떠한 값을 리턴할 것인데, 그 값은 It라는 변수에 담길 것이고, Iterator i..

1. DataStructure의 필요성 1-1 현실을 프로그래밍적으로 표현하는 것 ex) 현실에서의 Tree는 뿌리에서부터 가지가 뻗어나가는 구조, 이러한 현실세계의 Tree구조를 프로그래밍적으로 조직도나 디렉터리로 표현할 수 있다. ex2) Set은 집합을 나타내는데, set구조를 통하여 프로그래밍적으로 집합간(영어스터디, 프로그래밍스터디 등) 교집합, 합집합을 구할 수 있다. - 이러한 구조들을 공부하고, 프로그래머들이 짜놓은 데이터구조를 익히면서 나만의 데이터구조를 만들 수 있다. 1-2 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. ex) 1권의 책을 관리하는 것은 쉽다, 하지만 100권 이상일 경우, 정리를 하지 않으면 원하는 책을 찾는 건 쉽지 않다. 따라서 책을 다양한 기준으로 정렬하면 원하는 책..
- 20200424
- 20200502
- 20200330
- 백준
- 20200624
- 20200510
- chapter7
- 20200403
- 20200428
- 20200427
- 20200417
- 20200512
- 20200406
- 20200425
- 20200415
- 20200622
- 20200319
- 20200804
- 20200413
- 20200420
- likelion
- 20201204
- 20200429
- 20200317
- 20200503
- 20200423
- 20200421
- 생활코딩리눅스
- chapter8
- 20200504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