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Data types vs literal 1) Data types : Java에 내장된 데이터들의 타입을 나타내는 요소 ex) boolean, int, long 2) Literal : 고정된 값을 나타내는 소스 코드. ex) true, 1, 182937948172 boolean result = true; boolean - is data type true - is literal (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4644356/what-is-the-difference-between-data-types-and-literals-in-java )
Goal - main 메서드에 매개변수로 정의된 String[] arg에 대해 알아본다. - String[] arg의 사용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- 예제를 통해 String[] arg의 사용법을 알아본다. 1. String[] args - 프로그램 아규먼트 라고 한다. - 메인메서드를 정의할 때 파라미터로 String[] args이 선언되어 있다. 2. String[] args 사용 이유 - 이클립스 등의 java 개발 tool을 사용하기 이전에는 콘솔창을 통해 java를 실행했다. ex) javac classname.java 입력 -> classname에 해당하는 파일이 컴파일 되어 classname.class 파일이 됨. -> java classname을 콘솔창에 입력하여 java 파일 실행. - 이..

Goal - Buffer의 개념과 사용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- BufferedReader 사용시 주의할 점과 readline()의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. 1. BufferedReader, BufferedWriter - Java에서 버퍼를 이용하여 입출력 실행하는 함수 - Buffer를 이용하기 때문에 입출력의 효율이 높음. 2. Buffer 입출력 - 버퍼 (buffer) : 데이터를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전송하는 동안 일시적으로 그 데이터를 보관하는 임시 메모리 영역. 입출력 속도 향상을 위해 버퍼 사용 - 버퍼 플러시 (buffer flush) : 버퍼에 남아 있는 데이터를 출력시킴 (버퍼를 비우는 동작) - BufferedReader : 버퍼를 이용한 입력, BufferedWriter : 버..
Goal - 자바가 메모리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알아본다. - 스택 메모리 영역과 힙 메모리 영역의 역할을 알아본다. - 가비지 콜렉터의 역할과 필요한 이유를 알아본다 - 인스턴스와 힙메모리의 관계를 알아본다 - 상수풀에 대해 알아본다. 1. 스택 영역 - 함수 호출 시 생성되는 지역 변수와 매개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. - 스택 영역에 할당된 변수는 다른 메모리 영역과 다르게 함수 호출이 완료되면 사라짐. - 늦게 할당된 변수의 메모리가 먼저 해제되므로 스택의 특징과 일치한다. *scope : 스택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 중 어떤 부분을 실행해야 할지를 나타내는 범위로, 스택의 저장 순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넘나들며 코드를 실행시킨다. *pop : 지역, 전역변수를 따져서 scope에 더이상 들어갈 수 없는..
- chapter8
- 20200403
- 20200502
- 20200804
- 20200424
- chapter7
- 20200624
- 20200319
- 20200510
- 20200317
- 20200421
- 20200417
- 20200406
- 20200427
- 20200415
- 20201204
- 20200504
- 20200503
- 20200423
- 20200428
- 20200420
- 20200413
- likelion
- 20200425
- 20200330
- 20200429
- 20200512
- 백준
- 20200622
- 생활코딩리눅스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