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Goal - Queue의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1. Queue 특징 - Queue는 First in, First out 구조 : 먼저 저장된 자료가 먼저 꺼내지는 자료구조 - 선착순, 대기열등을 구현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료 구조 - ArrayList, LinkedList로 구현할 수 있음. 1-1 Queue구조 ArrayList로 구현 package list.practice.fastcampus; import java.util.ArrayList; class MyQueue { private ArrayList arrayQueue = new ArrayList(); public String dequeue() { int len = arrayQueue.size(); if (len == 0) { System.o..

Goal - Stack의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. - Java 코드를 통해 Stack을 구현한다. 1. Stack 특징 - Stack은 Frist in Last out(or LIFO) 구조. - Java에서 implementation을 통해 코드를 제공하고 있지만 주로 ArrayList를 이용해 구현 1-1 ArrayList 구현 코드 - push(String data) : 스택에 data를 쌓는다. - pop() : 스택의 data를 가장 나중에 들어온 순서대로 return한다. package list.practice.fastcampus; import java.util.ArrayList; class MyStack { private ArrayList arrayStack = new ArrayList(); p..

1. LinkedList 노드구현 - LikedList는 내부적으로 Node라는 객체를 사용하여 Node와 Node를 연결한다(ArrayList는 내부적으로 배열을 이용) - private class Node{ : 이너클래스 생성 , Node는 dayaType이 Node인 하나의 객체 - private Object data; : 노드의 값 - private Node next; : 다음 노드가 무엇인지 가르키기 위해 next의 dataType은 Node여야 한다. - public Node(Object input){ : 생성자를 이용해서 Node라는 객체가 이용될 때 객체를 초기화 한다. input : Node가 생성될때 어떠한 값을 갖고있어야 하는데, 그 값이 input이라고하는 생성자의 매개변수로 전달됨..

1. ArrayList Iterator 메서드 구현 1-1. previous() - next() 메서드를 실행하면, 실행당시 nextIndex값을 리턴 한후 nextindex에 +1을 하기 때문에, 다음 값을 가르키고 있는 상태가 된다, 따라서 previous()코드는 nextindex의 값을 리턴하기 전에 -1을 하여, 처음에 맨 끝값을 출력하고 다음부터 이전 값을 출력하게 된다. (처음에 맨 끝값을 출력하는 이유는 next()마지막 수행이 현재 elementData에 담고 있는 마지막 element를 출력하고 마지막 엘리먼트의 다음 index값을 가르키고 있기 떄문에 previous()를 처음 실행할 땐 elementData의 마지막 값을 출력한다. public Object previous() { r..
- 20200622
- 20200330
- 20200317
- chapter7
- 20200423
- 20201204
- 20200319
- 20200429
- 20200415
- 20200421
- 20200403
- 20200503
- 백준
- 20200624
- 20200424
- 20200504
- 생활코딩리눅스
- likelion
- 20200428
- 20200425
- 20200502
- 20200417
- 20200406
- 20200413
- 20200420
- 20200512
- 20200427
- 20200510
- 20200804
- chapter8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