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전에 배운 내용 - 서블릿 생명주기, 초기 파라미터, 리스너 컨테스트 리스너, HTML에서 어떻게 서블릿으로 데이트를 전송하고 받는지 (Form 태그) 1. JSP 태그 개념 이해 - Servlet은 Java언어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고, 출력객체를 이용하여 HTML코드를 삽입함. - JSP는 Servlet과 반대로 HTML코드에 Java언어를 삽입하여 동적 문서를 만들 수 있음. - HTML코드안에 Java코드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태그를 이용한다. 1-1 JSP 태그 종류 : 지시자 : 페이지 속성 :주석 cf) HTML주석 //HTML주석은 브라우저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소스코드를 볼 경우 코드내용이 보임 그렇지만 JSP주석 코드는 WAS에서 처리되기 때문에 소스코드를 해도 보이지 않음 : 선언 :..
1. 서블릿 초기화 파라미터 - 특정 Servelt이 생성될 때 초기에 필요한 데이터들이 있음. ex) 특정 경로 및 아이디 정보 - 이러한 데이터들을 초기화 파라미터라고 하며, web.xml에 기술하고 Servlet파일에서는 ServletConfig 클래스를 이용해서 접근(사용)함. - 초기화 파라미터를 web.xml이 아닌 Servlet파일에 직접 기술하는 방법도 있음. 1-1 web.xml 파일에 초기화 파라미터(Initialization Parameter) 기술 1)Servlet 클래스 제작 및 web.xml파일에 초기화 파라미터 기술 iniParam com.javalec.ex.iniParam id abcde id abcde pw 12345 iniParam /IP 2) ServletConfig 메..
이번 포스팅에서 배울 내용은 실제로 Servlet을 코딩하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분임. 1. HTML Form 태그 - Html의 form태그는 서버쪽으로 정보를 전달할 때 사용 (Servelt과 Data를 주고 받고함) ex) 회사의 그룹웨어, 회원가입 등 ID, Password 등의 정보를 넣어 요청할 때 form태그에 넣어져서 넘겨짐 - 웹프로그래머로서 Html을 어느 정도는 할 수 있어야한다. 1-1 input 태그 - 태그의 종류를 지정 - 속성(type, name, value) 1) type: 태그 종류 지정 ex) text (어떤 사이트에 로그인 할 때 ID부분의 Type은 text, password는 password type, submit (서버로 정보를 전달하는 태그, checkbox..
1. Servlet 작동 순서 - 클라이언트에서 servelt요청이 들어 오면 서버에서는 servlet컨테이너를 만들고, 요청이 있을때 마다 스레드가 생성 됨. 1-1 작동 순서 - 웹브라우저: 웹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이언트가 웹서버로 요청 - 웹서버: 요청이 들어온 것을 감지하고, WAS로 요청을 보냄 - 웹어플리케이션서버(WAS): Servelt 컨테이너로 요청을 보냄 - Servlet 컨테이너: 컨테이너 안에서 스레드 생성(들어온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) 및 Servlet객체 생성 1. 클라이언트(or Web Server)는 서블릿 컨테이너(Tomcat)에게 HTTP request를 전송. 2. 서블릿 컨테이너는 HttpServletRequest,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. ..
- 20200622
- 20200417
- 20200427
- 20200413
- 20200319
- 생활코딩리눅스
- 20200504
- 20200503
- 20200428
- 20200429
- 20200512
- 백준
- 20200423
- chapter8
- chapter7
- 20200317
- 20200415
- likelion
- 20200425
- 20200420
- 20201204
- 20200424
- 20200330
- 20200421
- 20200510
- 20200406
- 20200403
- 20200804
- 20200624
- 20200502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