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오라클 설치 후 접속 - Window + R -> CMD -> sqlplus(oracle에서 제공하는 sql사용 툴) -> 사용자명 as sysdba/비밀번호 입력 - 일반 사용자 만든 후, 권한 부여 (c##username) - create user c##(c##명령은 11이후 버전부터)username identified by password; (일반 사용자 생성) - grant connect, resource to c##username; (권한 부여) 2. 기본적인 SQL문 익히기 - 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 - SQL문을 학습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예제와 실무에서 프로젝트를 통한 학습방법. 2-1 테이블 생성 - create table 테이블명 (컬럼명 자료형);..
1. 자바 빈이란? - 반복적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빈을 사용. - Java의 데이터(속성)와 기능(메서드)으로 이루어진 클래스 - jsp페이지를 만들고, 액션태그를 이용하여 빈을 사용. 그리고 빈의 내부 데이터를 처리. 2. 빈 만들기 - Java에서 데이터 객체(학사관리에서 student객체 등)를 만들 때,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한 getter, setter가 존재함. 빈을 만든다는 것은 데이터 객체를 만들기 위한 클래스를 만드는 행위. 3. 빈 관련 액션 태그 - 액션태그 중에서 Bean 관련 태그, useBean, setProperty, getProperty - 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고, 얻어오는 역할을 함. 3-1 useBean - 특정 Bean을 사용한다고 명시함. - student..
1. 예외 페이지의 필요성 - Java에서 에러발생에 대비하여 try/catch 등을 통해 예외처리를 하는 것 처럼, JSP와 Servlet를 실행할 때도 예외가 발생 할 수 있기 때문에 예외 처리를 함 - 예외적인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웹컨테이너(톰캣)에서 제공되는 기본적인 예외페이지가 보여짐. - 기본 예외페이지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한 이미지를 줄 수 있고, 해당 사이트의 재방문률이 하락할 수 있음. - 예외 처리를 통해 에러페이지를 보다 친근한 느낌이 들도록 유도할 수 있음. 2. page지시자를 이용한 예외 처리 - page 지시자 : page의 속성을 담당하는 지시자. - : page 지시자 안에서 사용하는 속성. 현재 페이지에서 error가 발생하면 특정 페이지(er..
1. 세션이란? - 로그인 정보 및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 - 쿠키와 마찬가지로 웹브라우저와 서버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수단. -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클라이언트의 특정 위치에 저장하지만, 세션은 서버상에 객체로 존재 - 세션은 서버에서만 접근이 가능하여 보안이 좋고,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에 한계가 없음. 2. 세션 vs 쿠키 2-1 쿠키 -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관계를 지속적으로 이어줌 - 보안에 취약함(WAS에서 생성 -> local에 저장). 다른 사람이 내 로컬 경로를 따라 쿠키데이터를 확인하면 정보가 노출될 수 있음. - 용량이 적음(1.2m) 2-2 세션 - 서버에 객체로 존재하기 때문에, 보안에 강함. - JSP를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기 떄문에. 용량의 제한이 없음. - 브라..
- 20200512
- 20200624
- 20200804
- 20200421
- 20200406
- likelion
- 20200417
- 20200424
- 20200428
- 20200504
- 20200317
- 20200330
- 20200403
- 20200429
- 20200622
- 20200427
- 20200319
- 20200423
- 20200425
- 20200413
- 백준
- 20200502
- 20200510
- chapter7
- 20200503
- 20200420
- 20200415
- 20201204
- 생활코딩리눅스
- chapter8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