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프로세스 상태 전이 (새로운 프로세스의 형성부터 종료된 프로세스가 되기 까지) - Job스케줄러(장기스케쥴러)를 통해 Job을 프로세스 단위로 형성하면, 새로운 프로세스에는 PCB가 형성 된다. - 형성된 프로세스는 Ready(실행, 대기직전)상태로 아직 CPU가 할당 되지 않고, 준비큐에 들어간다. - 준비큐에 들어간 프로세스를 Dispatch(CPU스케쥴러, 단기스케쥴러)가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실행(CPU할당)한다. - 실행된 프로세스는 TS(Time Run Out)에 따라 다시 준비큐로 들어갈 수도 있고, 외부에 입출력 요청이 들어오면 - Block이 되어 대기 상태에 있다가 Wake up하여 다시 준비큐로 들어갈 수도 있다. - 실행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종료된 프로세스로 간주한다.
컴파일러 인터프리터 번역단위 프로그램 단위 번역 명령 줄 단위로 번역 수행과정 함께 번역, 함께 수행 줄 단위로 번역 수행 목적프로그램 번역 후 저장을 위해 필요 바로 수행하므로 불필요 효율성 효율성이 좋다. 효율성이 떨어진다. 기억장소 많이 필요 적게필요 -장단점 컴파일러: 한 번만 번역을 하고 실행 파일이 생기므로 실행시에는 번역하는 시간이 걸리지 않아 수행 속도가 빠름, 단 컴파일 시에 전체 프로그램 코드가 생성되므로 사용하는 메모리가 많아지게 됨. 인터프리터: 실행 시킬 때마다 번역이 선행 되므로 수행시간이 김. 단 번역 시 그때 그때 필요한 실행 코드를 생성하므로 사용하는 메모리가 적음. - 파이썬 vs 자바 컴파일러와 인터프리터 언어를 비교하면서 일반적으로 인터프리터 언어인 파이썬과 컴파일언어..
Goal - 웹 프로그래밍과 웹과 관련된 용어에 대해 이해한다. - Java웹에 대해 간단히 이해한다. - 웹 프로그램의 동작 방식에 대해 이해한다 - 웹서버와 웹 어플리케이션을 이해하고 차이점을 알아본다. 1. 웹프로그래밍이란? - 웹 프로그래밍이란,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행위 - 웹 어플리케이션은 웹을 기반으로 작동되는 프로그램 ex) 네이버등의 포털 사이트 - 웹이란, 1개 이상의 사이트가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서비스의 한가지 형태 ex) 컴퓨터와 컴퓨터는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네트워크를 이루고, 그 인터넷 서비스 중의 한가지가 웹(www) - 인터넷: 1개 이상의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. - 프로토콜(Protocol): 네트워크상에서 약속한 통신규약 ex) Http, FTP(File ..
1. 정의 - 복잡한 문제를 여러 개의 작은 부분 문제(Sub-Problem)로 나누어 해결하는 방법 - 상향식 접근법으로, 가장 최하위 해답을 구한 후, 이를 저장하고, 해당 결과값을 이용해서 상위 문제를 풀어가는 방식 2. Top-down - 프로그램 실행 시 이전에 계산한 값을 저장하여, 다시 계산하지 않도록 하여 전체 실행 속도를 빠르게 하는 기술 - 여러 개의 하위 문제(sub-problem) 나눴을시에 하위 문제를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최적해를 구한다 - 같은 하위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존재한다. 그 최적해를 저장해서 사용하는 경우 하위 문제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때 유용하다. 위 방법을 memoization 이라고 한다. 3. bottom-up - 하위 문제들로 상위 문제의 최적해를 ..
- 20200510
- 20200425
- chapter8
- 20200427
- 20200417
- 20200330
- 20200319
- likelion
- 20200421
- 20200502
- 20201204
- 20200504
- 20200804
- 20200428
- 20200429
- 백준
- 20200406
- 20200512
- 20200415
- 20200503
- 20200403
- 20200624
- 20200420
- 생활코딩리눅스
- 20200317
- chapter7
- 20200424
- 20200413
- 20200622
- 20200423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