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HTML코드 내에서 JavaScript를 동작시키는 방법 - JavaScript는 HTML위에서 동작하는 언어. - 따라서, JavaScrip를 어떤 방식으로 HTML안에서 동작하게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함. 1.1 script 태그 - JavaScript를 HTML코드에 넣기 위해서는, 웹브라우저에게 HTML코드인 script태그로 JavaScript의 시작을 알려야 한다. - - 1-2 HTML코드와 JavaScript코드의 차이 - HTML body태그에 1+1을 타이핑 할 경우 1+1 그대로 출력 - JavaScript script태그에 1+1을 타이핑 할 경우 동적처리하여 2로 출력
1. JavaScript 등장배경 - 웹이 등장할 때 있던 최초의 기술 HTML, HTML을 통해 정보를 표현하고 주고 받을 수 있게 됨. - HTML은 정적임, 한번 출력되면 화면에 언제나 그 모습. - 기술의 발전 이후 개발자는 사용자와 동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웹페이지를 만들고 싶어짐. 2. JavaScript의 동작 - 웹은 HTML을 이용해서 웹페이지를 우선 만든 후에 - JavaScript를 이용해서 사용자와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하여, HTML정보와 JavaScript의 기능을 갖춤. - HTML이 '정보'라는 것을 그린다면, JavaScript는 '정보'를 움직이게 한다. - 버튼의 클릭으로 웹화면이 Night모드 Day모드로 바뀌는 것처럼, 웹브라우저와 사용자가 상호작용하게 함...
1. block level elment (화면 전체 사용) - display를 사용하여 inline; 코드를 작성하면, 화면 전체가 아닌 차지하는 부피 만큼 사용할 수 있다. - display:none; 화면에서 사라짐 h1 { border-width:5px; border-color:red; border-style:solid; display:inline; } 2. inline element (부분 사용) - display를 사용하여 black; 코드를 작성하면, 화면 전체 사용가능 - 즉 block element와 inline element는 단지 기본값일 뿐 값이 언제든지 바뀔 수 있다. a { border-width:5px; border-color:red; border-style:solid; } 3...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48x148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DNCr6/btqBRwV35Hi/TJ8PXZkrcwF9kWKhKJgUiK/img.png)
1. HTML코드에 CSS작성하기 - 웹페이지에 css를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html과 css가 완전히 다른 언이이기 때문에 웹브라우저로 하여금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css인지를 알 수 있게 해줘야 함. 1-1 style태그 안에 css 코드 작성 1-2. style 속성을 이용 - html과 css에 미리 약속된 속성을 사용하여 디자인하고자하는 html코드 옆에 바로 속성을 작성하여 디자인을 한다. - 속성은 html의 속성이며, 그 값으로 반드시 css의 효과가 들어 온다라고 약속 되어 있음. - style 태그보다 속성에 입력된 값이 우선된다 CSS 2. 선택자의 기본 - 선택자의 우선순위 - id > class > style의 기본 속성 중 나중에 작성된 코드 WEB HTML CSS JavaScr..
- 20200417
- 20200423
- 20200510
- 20200429
- 20200428
- 20200406
- 20200502
- 20200319
- 백준
- 20200317
- chapter7
- 20200503
- chapter8
- 20200504
- 20200424
- 20200804
- 20200512
- 20200622
- 20201204
- 20200330
- 20200425
- likelion
- 20200403
- 20200415
- 20200420
- 20200413
- 20200421
- 20200427
- 생활코딩리눅스
- 20200624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