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링크 ( 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80 ) 1. 풀이 힌트 - 순간이동을 최대한 많이 해야하므로 n에서 2를 나눈다. -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다면 점프를 해야하는 구간이므로 answer을 카운트 한다. - 몫이 0이 되면 카운트한 answer을 출력한다. 2. 코드 풀이 function solution(n) { let answer = 0; while(n > 0) { if(n % 2 === 0) { n /= 2; } else { n--; answer++; } } return answer; } 3. 회고 - 처음에는 0부터 세는 방식으로 접근했다. 각 step에서 점프와 순간이동을 호출하는 재귀 함수를 구현했다. 결과는 ..
https://careerly.co.kr/qnas/1273?fa=qna-list react-query useQuery vs... 안녕하세요. react-query에서 useQuery와 useMutation을 쓰는 도중 의문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. 보통 Read 작업은 useQuery를 쓰고... careerly.co.kr 커리어리에 올라온 질문에 답변을 하다가 react-query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특정 상황에서만 조회하고 싶을 때 어떤 hook을 사용해야 하는지 고민해보았다. 2가지 방법으로 특정 상황에서만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을 것 같다. 1. useQuery 사용 - useQuery를 기본적으로 enable: false 상태로 두고, refetch 함수를 통해 특정 상황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 2..
1) addEventListener의 options 중 { passive: ture}에 대하여. - 자바스크립트에서 addEventListener()를 통해 등록된 이벤트는 컴포지터 스레드가 받음. 이벤트가 들어오면 컴포지터 스레드는 메인 스레드에 이벤트를 넘기고 렌더링 파이프라인에 따라 layout, paint를 거쳐 Layout tree를 기다림. EventListenerOptions의 속성 중 passive 속성이 바로 이 파이프라인과 관계가 있음. { passive:true }는 이벤트를 받는 컴포지터 스레드에 해당 이벤트가 메인 스레드의 처리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Composite를 수행해도 된다는 힌트를 주는 것. 이 속성이 설정되면 컴포지터 스레드는 원래의 동작대로 이벤트를 메인 스레드에 넘..
- chapter8
- 20200425
- 20200512
- 20200427
- 20200624
- 20200423
- 20200510
- 20200330
- 20200428
- 20200502
- chapter7
- 백준
- 20200804
- 20200424
- 20200319
- 생활코딩리눅스
- 20200421
- 20200504
- 20201204
- 20200622
- 20200417
- 20200317
- likelion
- 20200415
- 20200406
- 20200403
- 20200413
- 20200503
- 20200429
- 20200420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