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풀이과정 - 주어진 나선형에서 케이스를 더 그려본다 - 반복되는 케이스에서 삼각형이 어떤식으로 만들어지는지 규칙을 파악한다. - 규칙을 점화식으로 도출하고 코드로 옮긴다. - 코드로 옮기는 과정에서는 메모이제이션 기법 또는 DP문제를 풀때 적용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코드를 작성한다. *규칙 - n이 6이상일 때 부터 n번째 삼각형은 n-1번째 삼각형과 n-5번째 변의 삼각형의 합이다. - 따라서 n = (n-1) + (n-5) 라는 점화식을 도출할 수 있다. import java.util.Scanner; // 9461 파도반수열 public class Padovan {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{ Scanner sc = new Scanner(System.in)..
(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04 ) 풀이 전략 식을 구해보고 규칙을 찾은 뒤 점화식을 도출한다. (규칙은 맨뒤에 적어놨습니다) 하위 식에서 상위 식을 구하는 bottom-up 방식을 통해. 결과 값을 더해가면서 최종 답을 구한다. 핵심은 문제를 잘 이해해서 규칙을 찾는 것이다. 소스 코드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BufferedWrit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io.OutputStreamWriter; // 1904번 01타일 public class Main { public static void mai..
(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946 ) - 해결방법 서류심사 순위 를 기준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뒤, 면접 점수 순위를 기준으로 앞에서 부터 최솟값을 갱신하면서 카운트를 샌다 1) 서류심사 순위와 면접 점수를 HashMap을 이용하여 key, value값으로 저장한 뒤 2) 서류심사 순위인 key값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하기 위해 TreeMap을 이용한다. 3) key값으로 value를 불러와서, value를 비교하면서 합격자들의 카운트를 더해간다. - 소스 코드 import java.io.BufferedRead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InputStreamReader; import java.util.HashM..
문제 세준이는 기말고사를 망쳤다. 세준이는 점수를 조작해서 집에 가져가기로 했다. 일단 세준이는 자기 점수 중에 최댓값을 골랐다. 이 값을 M이라고 한다. 그리고 나서 모든 점수를 점수/M*100으로 고쳤다. 예를 들어, 세준이의 최고점이 70이고, 수학점수가 50이었으면 수학점수는 50/70*100이 되어 71.43점이 된다. 세준이의 성적을 위의 방법대로 새로 계산했을 때, 새로운 평균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입력 첫째 줄에 시험 본 과목의 개수 N이 주어진다. 이 값은 1000보다 작거나 같다. 둘째 줄에 세준이의 현재 성적이 주어진다. 이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, 적어도 하나의 값은 0보다 크다. 출력 첫째 줄에 새로운 평균을 출력한다. 실제 정답과 출력값의 절대..
- 20200330
- 백준
- 20200421
- 20200428
- 20200804
- 20200510
- 20200317
- 생활코딩리눅스
- 20200504
- 20200425
- 20200319
- 20200406
- 20200622
- chapter8
- 20200624
- 20200417
- 20200413
- chapter7
- 20200429
- 20200427
- 20200512
- 20200420
- 20201204
- 20200424
- likelion
- 20200415
- 20200403
- 20200503
- 20200423
- 20200502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