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1) addEventListener의 options 중 { passive: ture}에 대하여. - 자바스크립트에서 addEventListener()를 통해 등록된 이벤트는 컴포지터 스레드가 받음. 이벤트가 들어오면 컴포지터 스레드는 메인 스레드에 이벤트를 넘기고 렌더링 파이프라인에 따라 layout, paint를 거쳐 Layout tree를 기다림. EventListenerOptions의 속성 중 passive 속성이 바로 이 파이프라인과 관계가 있음. { passive:true }는 이벤트를 받는 컴포지터 스레드에 해당 이벤트가 메인 스레드의 처리를 기다리지 않고 바로 Composite를 수행해도 된다는 힌트를 주는 것. 이 속성이 설정되면 컴포지터 스레드는 원래의 동작대로 이벤트를 메인 스레드에 넘..
1. 1px(픽셀)은 몇 바이트? - 흑백은 각 픽셀의 밝기 값을 0~255 사이 값으로 표현하며 1byte(8bit)를 차지함, 컬러의 경우 3byte를 차지함. 이때 각 바이트는 빛의 3원색인 빨강(red), 녹색(green), 파랑(blue)이며, 0~255 사이의 값으로 빨강의 정도, 녹색의 정도, 파랑의 정도를 각각 나타냄. 각각의 8bit의 기본 컬러 3개를 조합하여, 256x256x256=16,777,216개의 컬러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8bit(red, green, blue) 3개를 조합하여 총 24bit를 이용하여 컬러를 표현했으며 이를 트루 컬러(True color)라고 부름.
1. HTTP 통신에 사용되는 object는 왜 JSON.stringfy를 해야할까? - HTTP 메시지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가 교환되는 방식. HTTP 메시지는 ASCII로 인코딩된 텍스트 정보이며 여러 줄로 되어 있음. - 문자열 인코딩은 2진법을 사용하는 컴퓨터가 인간의 언어를 2진수로 변환하는 방식. ex) 아스키 코드, EUC-KR, UTF-16, UTF-32다. - 서버에 request하는 값을 text (string) 형식으로 보내기 위해 JSON 형식으로 string화 하여 보낸다.
1. inactive vs active (react-query) - 같은 키를 가진 캐싱된 query중에서 가장 최근에 fetching한 쿼리 값은 active 나머지는 inactive 상태임. 2. invalidation vs refetch (react-query) - query의 상태를 mutation으로 변경한 뒤 해당 쿼리를 다시 서버에 요청해야할 때 invalidation과 refetch를 사용할 수 있다. - invalidation은 해당 쿼리를 stale한 상태로 변경하는 것으로 새롭게 refetch를 하게 하고, refech는 같은 queryKey로 서버에 다시 데이터 요청을 한다. - 둘 다 새롭게 데이터를 요청하는 것은 같으나 동작이 미묘하게 다르고 usecase도 다르다. - 페이징 ..
- 20201204
- 20200427
- 20200425
- 20200406
- 생활코딩리눅스
- 20200319
- 20200417
- 20200423
- likelion
- 20200317
- 20200421
- 20200415
- 20200512
- 20200804
- 20200503
- 20200424
- 20200510
- chapter8
- 20200403
- 20200622
- 20200504
- 20200330
- 20200413
- 20200502
- 20200624
- chapter7
- 20200420
- 20200428
- 20200429
- 백준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