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23) 인덱스(INDEX)
- 테이블의 행에 지정하는 색인
-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레코드를 빠르게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진 데이터 구조
24) 부 프로그램 (Sub Program)
- 하나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여러 작은 단위의 프로그램들
- 프로그램 명령문들의 작은 단위 묶음 (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코드의 묶음), 프로세스 추상화의 일종
25) 인터럽트 (interrupt)
-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발생된 상황을 처리한
후 다시 실행중인 작업으로 복귀하는 것
26) 후위 표기법 (Postfix Notation)
- 1+2 또는 3x4 처럼 연산자를 피연산자 사이에 두는 중위 표기법과 다르게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표기하는 방식
ex) 1+2 -> 12+ / 3x4 -> 34x
- 계산방법
1. 앞에서 부터 읽으며 피연산자는 스택에 쌓는다.
2. 연산자를 만나면 스택에서 피연산자 2개를 꺼내 연산은 수행하고 다시 스택에 쌓는다
3. 1~2번을 반복한다
ex) 3576+x- = -62
27) 스택 (Stack)
- 리스트의 한쪽 끝으로만 자료의 삽입, 삭제 작업이 이루어지는 자료 구조
ex) 3(Bottom), 4, 5, 6, 7(Top)
- 가장 나중에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되는 후입 선출(LIFO; Last-In, First-Out) 방식으로 자료를 처리한다.
28) 0 주소지정방식 (Addressing Mode)
- OP Code 부만 있고 주소를 지정하는 자료부( Operand 부)가 없는 명령어
- 모든 연산은 스택 메모리의 TOP(Stack 포인터)이 가리키는 Operand를 이용하여 명령을 수행
29) 재귀(Recursive) 프로그램
- 자기 자신을 이용하여 정의시켜 놓고, 반복적으로 스스로를 호출/ 사용하는 프로그램
ex) 피보나치 수열 ( 직전 2개의 항의 합으로 정의됨) 1, 1, 2, 3, 5
30) 운영체제
-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, 사용자가 컴퓨터를 편리하고,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여러 프로그램의 모임
-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일종으로, 다른 응용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함.
'컴퓨터 공학(CS) >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키마 (0) | 2020.02.29 |
---|---|
데이터베이스(DataBase)용어 -4 (0) | 2020.01.29 |
데이터베이스(DataBase)용어 -2 (0) | 2020.01.28 |
데이터베이스(DataBase)용어 -1 (0) | 2020.01.28 |
데이터 베이스 기본(1) (0) | 2020.01.23 |
- 20200413
- 20200510
- chapter7
- 20201204
- chapter8
- 20200330
- 20200319
- 백준
- 20200804
- 20200425
- 20200417
- likelion
- 생활코딩리눅스
- 20200504
- 20200423
- 20200424
- 20200420
- 20200624
- 20200406
- 20200403
- 20200502
- 20200428
- 20200317
- 20200427
- 20200421
- 20200622
- 20200429
- 20200415
- 20200512
- 20200503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