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Goal
- 네트워크 전송과정에서의 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에 대해 알아본다.
인캡슐레이션과 디캡슐레이션
- 상위 계층 -> 하위 계층 (인캡슐레이션) 그 반대는 디캡슐레이션
- 패킷 기반 네트워크 : 데이터를 패킷으로 쪼갬. 하나의 통신이 회선 전체를 점유하지 않고 동시에 여러 단말이 통신하도록 해줌.
- 데이터를 패킷으로 쪼개고 네트워크를 이용해 목적지로 보내고 받는 쪽에서는 패킷을 다시 큰 데이터 형태로 결합해 사용.
- 애플리케이션에서 하위 계층(1~4계층)으로 내려보내면서 패킷에 데이터를 넣을 수 있도록 분할함. (인캡슐레이션)
- 네트워크 상황을 고려해 적절한 크기로 데이터를 쪼개고 4계층 부터 네트워크 전송을 위한 정보를 헤더에 붙여 넣음.
- 헤더에 추가되는 정보는 비트 단위로 사용.
- 4계층에서 필요한 헤더 추가 -> 3계층 전송 -> 3계층에서 헤더 추가 -> 2계층 전송 -> 과정 반복 후 전기 신호로 변환해 수신자에게 전송됨.
- 이렇게 인캡슐레이션 된 정보를 받는 쪽에서는 디캡슐레이션 과정을 수행함.
- 디캡슐레이션 : 전기 신호 -> 2계층에서 데이터 형태로 만들고 헤더 정보를 확인, 목적지 판단 (랜카드) -> 3계층으로 전달 이 때 2계층의 헤더는 버리고 3계층으로 보냄 -> 각 계층에서 헤더 해석 & 맞으면 헤더 버리고 다음 계층으로 데이터 전달.
- 데이터의 전송 -> 인캡 디캡의 과정
- 각 계층 헤더를 통해 송신자와 수신자 계층간의 논리적 통신.
'컴퓨터 공학(CS) > 네트워크 기본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 요청 생성 및 분석 (0) | 2024.08.23 |
---|---|
OSI 7계층과 TCP/IP (0) | 2021.10.23 |
네트워크 프로토콜 (0) | 2021.10.23 |
댓글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AG
- 20200417
- 20200502
- 20200403
- 20200427
- 20200413
- chapter8
- 20200330
- 백준
- 20200804
- 20201204
- likelion
- 20200425
- 20200512
- 생활코딩리눅스
- chapter7
- 20200510
- 20200415
- 20200319
- 20200429
- 20200503
- 20200317
- 20200423
- 20200421
- 20200424
- 20200504
- 20200622
- 20200624
- 20200406
- 20200420
- 20200428
- Total
- Today
- Yesterda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