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Goal
- Window 운영체제에서 VirtualBox를 설치하고 Ubuntu를 실행해본다.
운영체제 Window, 64-bit, Linux Ubuntu 설치 기준입니다.
1. 브라우저 검색창에 Oracle VirtualBox download 검색
( https://www.oracle.com/kr/virtualization/technologies/vm/downloads/virtualbox-downloads.html )
2. 각 OS 환경에 맞는 VirtualBox Base Packages 다운로드
- Window일 경우 컴퓨터 환경에 맞추어 64-bit installer 다운로드.
3. Package 압축 풀고 VirtualBox 설치
4. VirtualBox 실행 -> 새로만들기 클릭
- 이름 입력
- 종류 Linux 선택
- 버전 Linux Ubuntu 64bit 선택
5. 가상메모리 설정
- 가상 머신에 메모리를 할당하기 전에, 로컬 컴퓨터의 최대 메모리와 가용 메모리를 확인해야 한다.
- 작업관리자 -> 성능 -> 성능 왼쪽에 메모리 크기와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를 확인 할 수 있다
- 사용가능한 메모리에 맞추어 2048MB(2G) 정도를 할당하면 적당하다
6. 하드디스크 추가
- 처음 가상환경을 설정하는 것이라면 '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'를 선택한다
- 하드디스크 파일 종류는 VDI를 선택한다 VDI (Virtual BOX 에서만 사용하는 하드디스크)
- 물리적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은 '동적 할당' 선택
- 파일 위치 및 크기는 60G 선택
7. 가상 머신 설정 완료
- 6번 까지의 과정을 끝냈으면 가상 머신이 설정된 것이고, 새로운 컴퓨터 하나를 준비 한 것과 동일하다
8. 가상 머신 실행
- 만들어진 컴퓨터를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할 것이다. 부팅 할 수 있는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동디스크를 넣어야 하는데, 현재로서는 시동디스크가 없기 때문에 ISO파일을 다운받아서 운영체제를 설치해야 한다.
9. 우분투 다운로드 서버 접속 (ISO 파일 다운로드)
( https://ubuntu.com/download/server )
- 홈페이지에서 Download 클릭 -> Ubuntu 최신버전 (현재 20.04) 다운로드
10. 가상 머신에 ISO 파일 넣기
- VirtualBox 접속 -> 설정 -> 저장소 -> 컨트롤러 : IDE 클릭 -> 오른쪽 속성에 광학드라이브에 있는 시디모양의 이모티콘 클릭 -> Choose / Create a Virtual ~ 클릭 후 다운받은 ISO를 찾아서 클릭 -> 적용 -> 서버 실행
10. 우툰부 설치
- 서버를 실행하면, 가상 컴퓨터가 가동되면서 우분투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
- Tab을 통해 위치를 변경시키고 왠만한 건 Done으로 넘어가면서 설치를 완료한다.
- 설치언어는 English로 세팅언어는 Korea로 선택해주고 나머지는 Done으로 넘어가면 설치가 완료된다.
- 20200406
- 20200423
- 20200510
- 20200503
- chapter7
- 20200317
- 20200502
- 20200504
- 20200804
- 20200512
- 20200403
- likelion
- 20200417
- 백준
- 20200413
- 20200622
- 20200425
- 20201204
- 20200421
- 20200428
- 20200427
- 20200330
- 20200429
- 20200420
- chapter8
- 20200415
- 20200624
- 생활코딩리눅스
- 20200319
- 20200424
- Total
- Today
- Yesterday